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박기환 대구광역시 경제국장은 " '대구수출지원시스템' 내에 '美 관세 대응 메뉴'를 한미 상호관세 대응부터 지역기업 지원책, 통상정보까지 한눈에 확인하고 시스템 리뉴얼로 사용자 편의·접근성을 한층 강화했다"고 말했다.
대구광역시에 따르면, "최근 지역 중소기업들이 대미(對美) 수출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4월부터 '대구수출지원시스템' 내에 '美 관세 대응 메뉴'를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발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이 플랫폼은 대구시 자체 지원사업은 물론, 유관기관에서 시행하는 각종 대책과 정보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대구광역시는 "특히, 지난 9월 4일 대구시 주최 '한미 상호관세 대응 대책회의' 이후 ▲12일 대구상공회의소 ▲18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지역 수출기업 대상 전략 설명회가 잇따라 개최되는데, 이와 관련된 일정과 자료 역시 본 시스템에서 종합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구광역시는 "2014년부터 '대구수출지원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며, 지역 기업들이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 신청과 수출 통계 조회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고 밝혔다.
또한, 대구광역시는 "2022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선 및 반응형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PC·태블릿·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한층 강화된 원스톱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덕분에 2024년 누적 접속자 수가 25,306명에 이를 정도로 활용도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대구광역시는 "수출지원시스템을 통해 지역 기업들이 대구시와 유관기관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해외시장 진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paekti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