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일보] 환경부가 스마트 제어 충전기의 설치를 마무리하고 지난 7월 21일부터 준공 검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검사는 실제 차량을 활용해 충전제어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능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보조금을 환수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 구축사업은 2024년 시작되어 현재 32개 사업, 총 4만2032기의 충전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 가운데 4개 사업, 1만1039기에 대한 준공 검사는 이미 완료됐다.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모든 충전기에 대해 검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 중 배터리 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 충전제어가 가능한 고기능 충전기다. VIN 또는 배터리팩 ID, 충전량(SOC), 열화정보(SOH), 셀전압, 팩전류, 모듈온도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통해 과충전을 방지하고 배터리 화재 예방 및 이상징후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준공 검사의 핵심 항목은 충전제어 기능이다. 실제 차량을 이용해 목표 충전량 도달 시 충전이 자동 종료되는지, SOC 표출과 설정이 가능한지, 재충전이 방지되는지 등을 면밀히 확인한다. 또한, 수집된 배터리 정보가 무공해차 누리집으로 암호화 전송되고, 충전기 무선 업데이트 기능이 탑재돼 있는지도 검사 항목에 포함된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단순 충전 기능을 넘어 다양한 통신 기반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Plug and Charge(PnC)를 통해 인증·충전·결제를 한번에 진행할 수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를 전력망으로 송전하는 Vehicle to Grid(V2G), 무선충전(WPT), 충전케이블 자동 연결(ACD) 등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다만 이러한 기능이 원활히 작동하려면 차량이 배터리 충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충전기에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기차 제작·수입사는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2026년 1월 1일까지 차량 통신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 SOC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해당 일정에 맞춰 기능 작동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스마트 제어 충전기를 통해 충전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며 “수집된 배터리 정보는 향후 이상 진단 및 안전관리 고도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PnC·V2G 등 새로운 충전 패러다임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